마태복음 23:1~12

예수님께서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말하는 바는 지키되 행위는 본받지 말라고 하십니다. 선생, 아버지, 지도자로 불리기를 좋아하지 말고 섬기는 자가 되라고 말씀하십니다.

2절-4절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 모세의 자리에 앉았으니 그러므로 무엇이든지 그들이 말하는 바는 행하고 지키되 그들이 하는 행위는 본받지 말라 그들은 말만 하고 행하지 아니하며 또 무거운 짐을 묶어 사람의 어깨에 지우되 자기는 이것을 한 손가락으로도 움직이려 하지 아니하며

예수님께서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에 대해 알려 주십니다. 먼저 그들은 말만 할뿐 실천하지 않습니다. 남들에게 계명을 가르치고 지키라고 하면서, 정작 자신은 지키지 않습니다.

또한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계명을 가르치면서 사람들을 질책하고, 정죄하여서 사람들로 하여금 패배감과 두려움을 갖게 만듭니다. 율법이 무거운 짐이 되게 하는 것이지요.

예수님은 이런 지도자의 행위를 본받지 말라고 하십니다.

성경말씀을 가지고 이래라 저래라 가르치는데 정작 자신은 말씀대로 살지 않는 목회자를 멀리해야 합니다.

성경말씀 가지고 성도들을 정죄하고 주눅들게 만들고 두렵게 만드는 목회자를 멀리해야 합니다.

저 자신도 예수님의 경고 앞에 제 자신을 돌아보고 가르치는 자로서 모범을 보이도록 늘 깨어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10절 또한 지도자라 칭함을 받지 말라 너희는 지도자는 한 분이시니 곧 그리스도시니라

예수님은 무리와 제자들에게 선생이라 칭함을 받지 말고, 아버지라, 지도자라 칭함을 받지 말라고 하십니다. 선생, 아버지, 지도자의 자리가 책임이 무거운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이런 칭함을 받는 것이 스스로 무언가 된 것처럼 위선에 빠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굽신거리고 존칭을 써주고, 대우해 주는 것에 취하게 되면, 자신을 망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누구를 가르치고 지도하기 이전에 가르침을 받고, 지도를 받아야 하는 자들입니다. 저도 목사의 지위에 있지만 나 스스로도 가르침을 받고 지도를 받아야 하는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우리의 선생, 아버지, 지도자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이십니다. 예수님께서 모든 율법을 다 이루셨습니다. 우리를 위해 이 땅에 오셔서 율법을 완성하셨습니다. 왜 예수님께서 친히 이 땅에 오셔서 율법을 다 지키셨을까요? 우리를 위해서 입니다. 예수님 안에서 우리는 율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예수님을 의지할 때에 율법은 무거운 짐이 아니라, 우리가 율법을 지키면서 하나님이 계획하신 복되고 안전한 삶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Q. 나는 말씀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지키고 순종하려고 애쓰는 사람입니까?

나의 참 선생, 아버지, 지도자가 예수님이시라는 사실이 내가 이 세상에서 선생으로 아버지로서 지도자로서 역할을 잘 감당하는데 어떤 도움을 줍니까?

(기도)

하나님 아버지!

예수님께서 저의 선생, 아버지, 지도자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수님께서 율법을 완성케 하셨기 때문에, 내가 주님을 의지하고 율법을 순종하며 살수 있는 자가 되었음을 믿습니다. 말씀을 가르치고 지키지 않는 자, 말씀을 가지고 나의 자녀나 가족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는 자가 되지 않게 해 주옵소서. 함께 말씀을 나누며 순종의 자리에 나가도록 섬기는 자가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댓글

Scroll to Top